|
- 최문순, 이시종, 남경필 역시 임기 초에 비해 주민지지 추가로 더 확대해
- 윤장현, 이낙연, 홍준표는 2년 경과하며 주민지지 가장 많이 잃어
민선6기 전반기 2년이 마무리된 2016년 6월 기준, 안희정 충남지사, 최문순 강원지사, 이시종 충북지사가 각각 지역주민들의 지지를 가장 큰 폭으로 확대한 시도지사 1, 2, 3위로 나타났다.
전국 17개 광역 시도지사가 2년 전 임기 초에 비해 지역주민들의 지지를 어느 정도 확대했거나 잃었는지를 비교하기 위해, 2014년 6·4지방선거 득표율 대비 2016년 6월 광역자치단체장 직무수행 지지율(긍정평가)의 증감 정도를 나타내는 ‘주민지지확대지수’를 집계한 결과, 민선6기 전반기 2년 주민지지확대 1위는 안희정 충남지사가 차지한 것으로 나타났다.
안 지사는 6·4지방선거에서 자신이 얻은 득표율 52.2%에 비해 17.5%p 더 높은 69.7%의 지지율로, 133.5점의 주민지지확대지수를 기록해 지지층을 확대한 정도가 가장 큰 시도지사 1위를 차지했다. 안 지사는 지난 2년의 도정수행을 통해 33.5%의 주민지지를 더 이끌어냈다.
2위는 주민지지를 19.5% 더 넓힌 최문순 강원지사로 집계됐다. 최 지사는 6·4지방선거에서 절반에 조금 못 미치는 49.8%의 득표율을 올렸으나 올해 6월에는 이보다 9.7%p 더 높은 59.5%의 지지율을 얻어 주민지지확대지수 119.5점을 기록했다.
주민지지 확대 3위는 이시종 충남지사로 나타났다. 이 지사는 2년 전 지방선거에서 자신이 얻은 득표율(49.8%)에 비해 7.2%p 더 높은 57.0%의 지지율을 기록했고, 주민지지확대지수 114.5점으로 14.5%의 주민지지를 더 이끌어냈다.
다음으로 남경필 경기지사가 주민지지 확대 4위를 기록했다. 남 지사는 6·4지방선거 득표율(50.4%) 대비 1.1%p 더 높은 51.5%의 지지율을 보였고, 주민지지확대지수 102.2점으로 민선6기 전반기 2년의 도정수행을 통해 2.2%의 주민지지를 더 확대한 것으로 나타났다.

2016년 6월 현재 나머지 광역 시도지사 13인은 전반기 2년을 경과하면서 주민지지를 잃은 것으로 나타났는데, 김기현 울산시장(주민지지확대지수 93.4점, 6·4득표율 65.4%, 2016년 6월 지지율 61.1%)이 6·4지방선거 득표율 대비 6.6%의 주민지지를 잃은 5위, 권영진 대구시장(90.7점, 56.0%, 50.8%)이 9.3%를 잃은 6위, 서병수 부산시장(88.0점, 50.7%, 44.6%)이 12.0%를 잃은 7위, 원희룡 제주지사(87.5점, 60.0%, 52.5%)가 12.5%를 잃은 8위, 이춘희 세종시장(86.3점, 57.8%, 49.9%)이 13.7%를 잃은 9위, 김관용 경북지사(84.8점, 77.7%, 65.9%)가 15.2%를 잃은 10위를 기록했다.
이어 권선택 대전시장(주민지지확대지수 82.8점, 6·4득표율 50.1%, 2016년 6월 지지율 41.5%)이 17.2%의 주민지지를 잃은 11위, 박원순 서울시장(78.6점, 56.1%, 44.1%)이 21.4%를 잃은 12위, 유정복 인천시장(78.0점, 50.0%, 39.0%)이 22%를 잃은 13위, 송하진 전북지사(77.6점, 69.2%, 53.7%)가 22.4%를 잃은 14위, 홍준표 경남지사(73.9점, 58.9%, 43.5%)가 26.1%를 잃은 15위, 이낙연 전남지사(71.3점, 78.0%, 55.6%)가 28.7%를 잃은 16위, 마지막으로 윤장현 광주시장(69.9점, 57.9%, 40.5%)이 30.1%의 주민지지를 잃은 17위로 집계됐다.
시도 교육감 전반기 2년 주민지지 확대 톱3: 대구 우동기, 광주 장휘국, 울산 김복만
- 우동기, 전반기 2년의 직무수행으로 주민지지 45.9% 더 이끌어내 주민지지 확대 1위
- 장휘국, 김복만, 민병희 등 9명의 교육감 주민지지 추가로 더 확대해
- 최교진, 이재정, 김석준은 전반기 2년 경과하며 주민지지 가장 많이 잃어
지난 2년 동안 지역주민들의 지지를 가장 큰 폭으로 확대한 시도 교육감 1, 2, 3위는 각각 우동기 대구교육감, 장휘국 광주교육감, 김복만 울산교육감으로 나타났다.
우동기 대구교육감은 6·4지방선거에서 자신이 얻은 득표율 31.8%에 비해 14.6%p 더 높은 46.4%의 지지율로, 145.9점의 주민지지확대지수를 기록해 지지층을 확대한 정도가 가장 큰 시도 교육감 1위를 차지했다. 우 교육감은 지난 2년의 직무수행을 통해 45.9%의 주민지지를 더 이끌어냈다.
2위는 주민지지를 44.0% 더 넓힌 장휘국 광주교육감으로 집계됐다. 장 교육감은 6·4지방선거에서 33.2%의 득표율에 그쳤으나 올해 6월에는 이보다 14.6%p 더 높은 47.8%의 지지율을 얻어 주민지지확대지수 144.0점을 기록했다.
주민지지 확대 3위는 김복만 울산교육감으로 나타났다. 김 교육감은 2년 전 지방선거에서 자신이 얻은 득표율(31.4%)에 비해 6.2%p 더 높은 37.6%의 지지율을 기록했고, 주민지지확대지수 119.7점으로 19.7%의 주민지지를 더 이끌어냈다.
다음으로 민병희 강원교육감(주민지지확대지수 109.0점, 6·4득표율 36.5%, 2016년 6월 지지율 39.8%)이 6·4지방선거 득표율 대비 9.0%의 주민지지를 확대한 4위, 김병우 충북교육감(108.2점, 31.9%, 34.5%)이 8.2%를 확대한 5위, 김승환 전북교육감(106.5점, 47.7%, 50.8%)이 6.5%를 확대한 6위, 설동호 대전교육감(104.6점, 34.7%, 36.3%)이 4.6%를 확대한 7위, 이석문 제주교육감(102.9점, 38.2%, 39.3%)이 2.9% 확대한 8위, 조희연 서울교육감(101.0점, 39.4%, 39.8%)이 1.0% 확대한 9위로 나타났다.

2016년 6월 현재 나머지 시도 교육감 8인은 전반기 2년을 경과하면서 주민지지를 잃은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청연 인천교육감(주민지지확대지수 97.5점, 6·4득표율 36.2%, 2016년 6월 지지율 35.3%)이 6·4지방선거 득표율 대비 2.5%의 주민지지를 잃은 10위, 박종훈 경남교육감(94.0점, 56.3%, 52.9%)이 6.0%를 잃은 11위, 이영우 경북교육감(91.2점, 52.1%, 47.5%)이 8.8%를 잃은 12위, 김지철 충남교육감(90.5점, 39.1%, 35.4%)이 9.5%를 잃은 13위, 장만채 전남교육감(89.6점, 55.0%, 49.3%)이 10.4%를 잃은 14위, 김석준 부산교육감(84.9점, 44.5%, 37.8%)이 15.1%를 잃은 15위, 이재정 경기교육감(83.6점, 46.4%, 38.8%)이 16.4%를 잃은 16위, 마지막으로 최교진 세종교육감(68.7점, 58.5%, 40.2%)이 31.3%의 주민지지를 잃은 17위로 집계됐다.
주민지지확대지수는 2014년 6·4지방선거 득표율에 대한 ‘해당 월의 긍정평가와 6·4지방선거 득표율 격차’의 백분율에 100을 더한 값으로, 100점을 상회하면 6·4지방선거에 비해 지지층을 확대한 것으로, 100점 미만이면 지지층을 잃은 것을 의미한다. 리얼미터 2016년 6월 월간 정례 광역자치단체 평가 조사는 유선 임의전화걸기(RDD, random digit dialing) 자동응답(IVR, interactive voice response) 방식으로 2016년 7월 1일부터 7월 3일까지 3일간 전국 19세 이상 시도 주민 8,500명(시도별 500명)을 대상으로 실시했고, 통계분석은 ‘2개월 이동(two-month rolling)'' 시계열 자료 분석 기법에 따라 17,000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통계보정은 행정자치부 주민등록 인구통계에 따른 성, 연령, 지역별 가중치 부여 방식으로 이루어졌다. 시도별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서 ±3.1%p, 응답률은 4.8%이다.
광역단체장 지지도 또는 주민생활만족도에 대한 등락 원인 분석, 2014년 8월부터 2016년 6월까지의 시계열 변화 분석 내용에 대한 문의는 리얼미터 조사분석실(02-548-4071)로 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