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24 (토)

  • 구름많음동두천 17.6℃
  • 맑음강릉 20.3℃
  • 구름많음서울 18.2℃
  • 맑음대전 18.5℃
  • 맑음대구 19.0℃
  • 맑음울산 20.0℃
  • 맑음광주 18.4℃
  • 맑음부산 19.1℃
  • 맑음고창 18.4℃
  • 맑음제주 21.3℃
  • 구름많음강화 15.3℃
  • 구름조금보은 17.3℃
  • 맑음금산 18.1℃
  • 맑음강진군 18.7℃
  • 구름조금경주시 20.7℃
  • 맑음거제 19.7℃
기상청 제공

보은군, 이상기후 대비 고품질 쌀 생산을 위해 '먹노린재' 적기 방제 당부

 

(충남도민일보 / TV / 정호영기자) 보은군농업기술센터는 평년보다 빠르게 높아진 기온으로 월동 해충인 먹노린재 발생이 클 것으로 예상되어 철저한 주의와 방제를 당부했다.

 

‘먹노린재’는 볏대를 빨아 먹는 해충으로, 성충은 낙엽 속이나 잡초 밑에서 겨울을 난 뒤 이듬해 6월 상‧중순부터 모내기한 논으로 이동해 10월까지 벼를 가해한다.

 

피해 증상은, 초기에는 잎에 가로로 불규칙한 무늬가 생기거나 꺾여지고, 속잎이 누렇게 말린다. 피해가 심한 경우 벼 키가 잘 자라지 않고 분얼이 억제되어 말라 죽게 된다. 또 후기에는 반점미와 이삭 마름 증상을 보인다.

 

먹노린재 방제를 위해서는 산기슭과 가까운 논은 논둑 가장자리에 심은 모를 먼저 살피고, 먹노린재가 발견되면 방제 약제를 뿌린다. 겨울을 난 먹노린재가 논으로 들어와 본격적으로 알을 낳는 7월 중순 이전까지 방제하면 초기 개체 수를 효과적으로 줄일 수 있다.

 

먹노린재는 작은 충격이나 소리에도 숨는 습성이 있기에 약제 방제 시 먹노린재 몸에 약액이 묻을 수 있도록 벼 줄기 아랫부분까지 충분히 살포해야 한다.

 

또한, 월동 서식처인 논둑과 배수로의 잡초까지 방제하는 것이 좋다. 먹노린재 방제용 약제는 현재 66품목이 등록돼 있고 자세한 사용 시기와 방법은‘농약안전정보시스템’에서 확인 할 수 있다.

 

최기식 식량축산팀장은 “먹노린재의 효과적인 방제를 위해서는 산란기인 7월 중순 이전에 약제 방제가 효과적”이라며, “시기를 놓쳤을 경우, 지속적으로 논을 예찰하여 방제하기를 당부드린다”고 전했다.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PHOTO

더보기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