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남도민일보) 베트남의 물류성과지수(LPI)가 160개국 중 39위, 아세안(ASEAN)에서는 3위를 기록했다. 이는 14~16%의 성장률을 보이는 신흥 시장 중에서도 상위권이다. 2010년부터 2020년까지의 베트남 총 수출입액이 2010년 이전에 기록된 총 수출입액의 3배를 기록했다. 베트남 산업통상부(MoIT) 관계자는 이번 높은 물류성과지수 달성이 민관협동으로 물류업체 증가와 물류서비스 개선을 위해 노력한 결과임을 강조했다. 관계자는 정부, 부처, 기관 및 기업이 국가와 기업의 경쟁력 향상을 위해 물류 비용 절감 노력을 지속해왔음을 강조했다. 산업통상부 관계자는 주요 도시에서의 물류 서비스 중요성을 강조했다. 하노이시, 호치민시, 다낭시, 하이퐁시 등 베트남 주요 도시에서의 물류 서비스 중요성을 강조하면서 물류서비스가 지역의 사회경제적 발전을 위한 원동력 역할을 한다고 설명했다. 전문가들은 베트남 물류부문이 2025년까지 국가 GDP의 5~6%를 차지하고 15~20%의 성장률을 기록하며 글로벌 물류성과지수부문에서 50위를 기록할 것으로 전망했다. [출처:https://en.vietnamplus.vn/vietnam-ranks-
(충남도민일보) 룩셈부르크 개인정보보호당국(CNPD)은 아마존의 유럽개인정보보호규정(GDPR) 위반과 관련 7억 4,600만 유로에 이르는 사상 최대 금액의 과징금을 부과했다. CNPD는 아마존의 전자상거래 플랫폼 이용자 개인정보 관리 미흡이 GDPR에 위반된다고 판단, GDPR 관련 사상 최대 금액인 7억 4,600만유로의 과징금을 부과했다. 지금까지 GDPR 관련 최대 과징금 액수는 프랑스 개인정보보호당국이 구글에 부과한 5천만 유로다. 특히, 당초 CNPD가 아마존에 대한 과징금으로 3억 6천만유로를 언급한 바 있으나, 해당 금액의 두 배에 가까운 금액으로 상향조정된 것이다. 아마존은 CNPD 결정이 주관적 및 자의적 GDPR 해석에 의하고, 비례원칙에 어긋나는 결론이라며, 법적 수단 등 모든 방법을 동원, 자사 이익을 보호할 것이라고 언급했다. 이미 영국 개인정보보호당국이 브리티시 항공과 매리어트 호텔 등에 부과한 GDPR 관련 과징금을 80% 경감하고, 독일 법원도 판결을 통해 과징금을 감액한 바 있어, 아마존의 과징금 규모도 향후 협상 또는 판결에 의해 조정될 가능성도 있다. 한편, 이번 결정은 구글 등 다수 다국적 기업의 유
(충남도민일보) 일본 정부는 외국으로부터 보조금을 받고 수입된 제품에 부과하는「상계관세」를 적극 활용키로 했다. 상계관세는 세계무역기구(WTO)가 인정하는 무역구제조치의 하나로 보조금에 의한 가격인하 효과를 상쇄하기 위해 관세를 부과하는 것이며, 이런 움직임은 그동안 보조금 지급으로 지적되어 온 중국산 철강 등을 염두에 두고 있다. 일본 정부는 자국기업의 활용도를 높이기 위한 환경 정비를 추진하는 한편, 미국과 유럽 등 발동실적이 많은 국가와 연계하여 보조금관련 정보와 조사방법을 공유할 수 있는 체계를 조성하고 있다. 일본 정부는 자국기업의 활용도를 높이기 위해 상계관세 발동 신청 가이드라인(지침)을 오는 9월 상순까지 마련할 예정이다. 올 가을에 열리는 국제회의에서 미국, EU, 호주, 브라질 등과 함께 5개 국가의 조사당국이 협력하는 체계를 발족시킬 예정이다. 일본 정부는 우선 5개 국가간의 협력 체제를 마련하고 향후 논의를 확대하겠다는 전략이다. WTO에서는 그동안 중국을 염두에 두고 WTO규정에 금지되어 있는 산업보조금에 대해 대상을 확대하는 등의 개혁안이 제기되어왔지만, 논의는 진전되지 않고 있다. [뉴스출처 : 한국무역협회
(충남도민일보) 호치민시 깟라이(Gat Lai) 항구는 컨테이너를 보관할 장소가 부족하여 오는 8월 16일까지 특정 화물 반입을 중단할 예정이다. 깟라이 항구를 운영하는 Saigon New Port社는 지난 1일부터 냉장화물 반입을 중단하고 오는 5일부터 크기 및 중량을 초과하는 화물의 반입을 중단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호치민시 및 인근 지역에 내려진 강력한 사회적 거리두기 조치가 계속 연장되는 상황에서 화물을 실어나르는 화물 트럭의 수가 감소하여 깟라이 항의 적채현상이 심화되는 상황이다. Saigon New Port社는 물류업체들에게 화물을 인근 항구로 옮길 것을 권고했다. ※ 깟라이 항 인근 항구: · 호치민시 떤깡히엡픅(Tan Cang Hiep Phuoc)항 · 바리아-붕따우(Ba Ria- Vung Tau)성 떤깡-까이멥(Tan Cang-Cai Mep)항 · 바리아-붕따우성 떤깡-까이멥티바이(Tan Cang-Cai Mep Thi Vai)항 Saigon New Port社는 원활한 컨테이너 화물 처리를 위해 앞으로 2주 이내에 도착하는 선박의 화물 컨테이너와 비어있는 컨테이너의 예상 수량을 통보할 것을 화주들에 권고했다. 컨테이너 수가
(충남도민일보) 일본 히노(日野) 자동차, 이스즈 자동차 등 상용차 업계가 소형 전기자동차(EV) 트럭 판매를 내년 개시키로 하고,중국도 일본내 EV 상용차 진출을 계획하고 있어 경쟁이 본격화될 전망이다. 일본 상용차 업계는 우선 주행거리 100킬로미터의 택배 용도를 상정하고 있으며, 배터리 비용과 충전 인프라 등 보급 등이 큰 과제다. 히노는 2022년 여름경에 EV트럭 “듀트로 지(DUTRO Z) EV”를, 이스즈는 트럭 '엘프'의 EV 실증실험을 진행하고 있으며 2022년에 출시 예정이다. 히노와 이스즈는 모두 도요타 자동차가 중심이 되어 EV를 포함한 전동화 기술 등을 공동 개발하는 상용차연합에 참여했다. 일본 상용차 업계에서는 지금까지 상용차의 EV화에 신중한 자세를 취해 왔으며. 상용차 중에서도 트럭의 EV화는 장벽이 높기 때문이다. 배터리 코스트가 높아 차량 가격을 낮추기가 어렵고, 충전 인프라 보급도 아직 미흡한 상태다. 상용차의 경우 무거운 짐을 나르기 때문에 승용차에 비해 더 많은 양의 베터리가 필요, 보조금 제도 없이는 도입이 사실상 어려웠다. 그러나 세계적인 탈탄소 추진에 따라 탈탄소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트럭
(충남도민일보) 지난 7월 26일 인도 무역구제총국(DGTR)은 한국, 중국 및 미국에서 수입되는 `고무화학 PX-13'(rubber chemical PX-13) 제품에 대해 반덤핑 관세를 부과할 것을 최종 권고했다. DGTR은 지난해 인도기업인 NOCIL社의 제소로 상기 한국, 중국, 미국에서 수입되는 고무화학 PX-13 제품을 대상으로 한 반덤핑 관세부과 조사 개시를 작년 5월27일 공지한 바 있다. 1년여의 기간 동안 진행된 조사를 바탕으로 명시된 3국에서 수입되는 고무화학 제품들이 국내 제품의 가격과 점유율을 인하시키는 등 영향을 미친 것으로 판단, 재무부에 해당 국가와 제품들에 대한 관세부과를 최종 권고했다. 반덤핑 관세부과 대상인 고무화학 PX-13 제품은 타이어 및 非타이어 고무 섹터에 사용되는 주요 원료다. 해당 제품들에 권고되는 반덤핑 관세는 MT당 489.56달러에서 924.47달러 범위 내에서 책정되었다. 특히 한국에서 수입되는 관련 제품들은 MT당 각각 489.56 달러와 612.18달러로 책정되어 관세가 부과될 예정이다. DGTR에 의해 발행된 반덤핑 관세부과 권고 통지서는 재무부에서의 재검토를 통해 2달 내에
(충남도민일보) 행정안전부 지방자치인재개발원(원장 김장회)은 한국국제협력단(KOICA)과 공동으로 라오스 중앙정부 중견관리자급 공무원 22명을 대상으로 8월 2일부터 5일간 「라오스 정부 공공행정개혁 역량강화」연수를 비대면으로 실시한다고 밝혔다. 이번 연수는 라오스 정부에서 적극 추진 중인 행정개혁을 지원하기 위해 KOICA 글로벌연수사업의 일환으로 실시되며, 라오스 중앙정부 각 부처 조직‧인사 담당 중견간부들과 내무부 산하 행정연수원(PARTI) 소속 공무원들이 참가한다. 라오스는 최근 국가발전을 위한 정부 역할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행정개혁과 중앙-지방정부 공무원 역량강화를 적극 추진 중이다. 라오스 정부의 요청에 따라 지방자치인재개발원에서는 조직개편, 인사관리, 규제개혁, 변화관리 등을 주제로 정부혁신 및 공무원 역량강화 관련 한국의 경험과 우수사례를 공유하는 맞춤형 연수과정을 마련하였다. 특히, 연수생 스스로 한국의 전문가와 함께 라오스 행정현실을 분석하고, 개선을 위한 이행전략을 수립하는 시간을 편성하여 연수 종료 이후 현업에서 구체적으로 적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라오스 행정개혁에 실질적인 도움이 될 수 있도록 하였다. 한편, 지
(충남도민일보) 독일 자동차업계가 반도체 공급부족으로 생산 차질을 빚고 있는 가운데, 독일과 EU는 역내 반도체 생산 확대를 추진하고 있다. 최근 반도체 공급부족으로 다임러가 단축조업에 나서고, 폭스바겐도 신차판매가 급감하는 등 올 1분기 독일 전체 10만대 생산차질과 약 25억 유로 손실이 발생했다. 향후 반도체 수요가 높은 전기차 보급 확대로 자동차 반도체 수요는 더욱 확대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으며, 이에 반도체 수급의 안정성 문제가 더욱 주목받을 전망이다. 독일은 반도체산업이 디지털 경제와 '산업 4.0' 전환의 중요 요소이자 핵심 산업분야에 적용될 미래혁신의 기초로 인식하고, 디지털 주권과 경쟁력 확보를 위해, EU 중요공동이해관계 프로젝트(IPCEI)의 일환으로, 2023년까지 반도체 생산 확대를 위한 10억 유로 투자프로젝트를 추진했다. EU의 글로벌 반도체시장 점유율이 지난 30년간 꾸준하게 감소, 현재 약 9% 수준에 머문 가운데, EU도 이달 초 유럽 역내 반도체 생산을 약 두 배로 확대하기 위한 '프로세서 및 반도체 기술 동맹'을 발족했다. 이런 노력의 결실로, 최근 보쉬(Bosch)는 '실리콘 작소니(Silicon Sa
(충남도민일보) 2021년 상반기 일본 여행업 및 숙박업계 휴·폐업률이 급증했다. 올해 1~6월 휴폐업 및 해산한 여행업 기업은 96건으로 역대 최다를 기록했다. 집계를 시작한 2000년 이후 여행대리업 등 여행업의 1~6월 건수는 약 20~50건으로 작년 동기에는 전년 대비 4배 증가한 49건, 호텔과 여관업은 19건 감소한 67건이었다. 호텔 및 여관업도 약 1.6배인 104건으로 역대 2번째를 기록했다. 코로나 바이러스 확산으로 일본 정부의 관광 지원책인 Go To Travel정책의 중지 및 도쿄올림픽과 패럴림픽의 해외관객 수용 단념 등으로 사업의 향방을 가늠할 수 없어 휴폐업률이 증가한 것으로 보인다. 전문가들은 여행업 및 숙박업계의 휴폐업이 급증한 것과 관련하여 올림픽의 '무관중'을 1순위로 꼽고 있다. 또한, 도쿄에 4번째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코로나19 감염증 비상사태가 선포되면서 호텔 객실의 예약 취소가 잇따르고 있다. 건수는 무려 100만에 달하며 숙박업계의 어려움이 가중되고 있다. 상황이 이렇다 보니 일본 내에서도 숙박업계 줄도산을 예상하는 암울한 전망이 줄을 잇고 있다. [뉴스출처 : 한국무역협회]
(충남도민일보) 미국 의류신발협회(AAFA)는 미국과 베트남 양국 정부에 아디다스(Adidas), 갭(GAP) 및 기타 브랜드의 주요 공급 업체에 백신 공급을 가속화 할 것을 요청했다. 스티브 라마(Steve Lamar) 미국 의류신발협회 회장은 미국의 아스트라제네카(AstraZeneca) 백신 비축 물량을 포함한 백신을 현재 베트남과 같은 국가들에 공급을 확대할 것을 촉구하는 서한을 미국 대통령 조 바이든(Joe Biden)에게 전달했다. 미국은 이미 베트남에 백신 5백만회 분량을 제공했지만 협회는 미국 정부가 추가 공급해야한다고 주장했다. 베트남은 미국에 의류, 신발, 여행용품을 공급하는 국가 중 두 번째로 큰 비중을 차지하며 미국 해당 품목 전체 수입의 20% 비중을 차지하고있다. AAFA 회장 스티브 라마는 베트남 총리 팜민찐(Pham Minh Chinh)에 전달한 별도의 서한을 통해 현재 남부에서 확산되는 코로나 팬데믹을 통제하는 비상 조치를 취할 것을 요청했다. 베트남 내 코로나 4차 확산으로 남부지역 중심 확산세가 지속되고 있다. 베트남은 지난 4월 말 이후 11만 6천여 건 이상의 감염을 기록했으며 그중 호치민시가 66%를
(충남도민일보) 구글은 7월 16일 온라인 컨텐츠 규제를 위한 2018년 '네트워크 강화법(Network Enforcement Act, 독일어 NetzDG)의 일부 규정을 쾰른 행정법원에 제소했다. 구글은 해당 법률이 인터넷 플랫폼에 인종차별적 컨텐츠 등이 제시될 경우 플랫폼사업자에 해당 사실을 정부 당국에 보고토록 의무화한 규정이 법률 위반이라고 주장했다. 또한, 구글 플랫폼 사용자의 권리에 대한 정부의 대대적인 간섭이 개인정보보호 관련 법령과 독일 헌법 및 EU법에 위반된다고 주장했다. 독일의 네트워크 강화법은 유럽 최초의 컨턴츠 규제 법률로, 2020년 대형 플랫폼사업자에 심각한 인종차별 컨텐츠 게재시 이를 사법당국에 보고토록 일부 규정을 개정했다. 이와 관련, 독일 연방의회 산하 연구소는 작년 9월 해당 규정이 독일 헌법에 일부 위반될 수 있음을 지적한 바 있으며, 구글이 승소할 경우 해당 규정 적용은 중단되었다. [뉴스출처 : 한국무역협회]
(충남도민일보) 중국 정부는 '14차 5개년 계획'에서 '디지털화 발전 가속화, 디지털 중국 건설'을 제기하였으며, 네트워크 보안시장 규모가 꾸준히 성장할 전망이다. 공업정보화부 관계자는 중국정보통신연구원에서 개최한 '데이터 거버넌스 포럼'에서 현재 중국내 네트워크 보안 업체는 3,000여개사, 시장규모는 1,700억 위안(약 30조원)에 달한다고 발표했다. 모바일 인터넷, 빅데이터, 클라우드 컴퓨팅, AI, 5G 등 차세대 정보기술의 빠른 발전과 더불어 중국은 글로벌 최대 규모의 광대역 인터넷망과 4G 네트워크를 구축하였고, 5G 기지국을 90만 개 이상 건설하였으며, 인터넷 보급률이 70.4%에 달하고, 네티즌 규모가 10억 명에 육박하는 등 관련산업 성장에 따라 데이터 거버넌스 중요성이 날로 부각되고 있다. 이에 맞추어 중국 정부는 '네트워크 보안법'과 '데이터 보안법'을 연이어 출범하였으며, 데이터 주체의 권익보호 및 데이터 처리 활동 규범화를 위해 관련 법률근거를 마련했다. [출처 : 베이징일보] [뉴스출처 : 한국무역협회]
(충남도민일보) 구로구가 G밸리와 서울 소재 중소기업의 해외 진출을 위한 온라인 수출상담회 2회차를 개최한다. 서울산업진흥원, 금천구, 한국산업단지공단 등과 함께 진행하는 ‘G밸리 온라인 수출상담회’는 기업과 해외 바이어가 온라인 플랫폼을 활용해 교류하는 행사다. 내달 25일부터 27일까지 3일간 진행되는 행사에는 중소기업들의 판로 확대를 위해 북미 해외 바이어가 참가한다. 참가 기업들은 먼저 2021 G밸리 온라인 수출상담회 홈페이지를 통해 해외 바이어와 의견을 교환한다. 이후 G밸리 지원거점공간에 마련된 ‘화상회의장’에서 바이어와 대화하며 기업 홍보활동을 펼친다. 원활한 소통을 위해 국가별 통역사도 지원된다. 구로구는 참가 기업과 바이어 간 계약 성사를 위해 시제품 해외 발송 지원 등 사후관리 서비스도 제공할 계획이다. 신청을 원하는 기업은 참가 신청서, 기업 및 제품 소개서 등을 작성해 내달 4일까지 서울산업진흥원 홈페이지에서 신청하면 된다. 한편 구로구는 지난 6월 기업 66곳과 일본, 러시아, 중국 등 30여 명의 해외 바이어가 참여한 1차 수출상담회를 진행한 바 있으며, 10월 동남아시아 바이어들을 대상으로 3차 수출상담회를
(충남도민일보) 7월 16일, 미국 바이든 정부는 홍콩 내 자국 기업들 대상으로 국가안보 위협 대비 경보를 발령한 바 있으며, 일부 중국 관료들 대상으로 제재를 부과한 바 있다. 홍콩 내에서 활동하는 미국 기업들 대상으로 중국 대륙에 주요 인사 및 기업 기밀정보 데이터 자료 제출 시, 악이용 되거나, 기업에 막대한 손실을 초래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 이에 7월 23일, 중국 외교부 대변인은 “미국측이 근거 없는 사실로 홍콩의 기업환경을 더럽힌다”고 강하게 반박했다. 또한 올해 6월 10일부터 정식 발효 및 시행되는 '반외국제재법'(反外国制裁法)에 근거하여 윌버 로스 전 상무장관을 비롯한 7명 미국측 주요인사에 대하여 제재를 가하며 맞대응했다. 이번은 중국 정부가 '반외국제재법'을 적용하는 첫번째 사례이며, 도널드 트럼프 전 행정부 인사에 대한 두번째 제재다. [출처: 신랑재경] [뉴스출처 : 한국무역협회]
(충남도민일보) 베트남은 코로나 4차 확산의 피해를 입은 경제를 지원하기 위해 전자상거래 업체들에 대한 온라인 세금 부과를 연기할 예정이다. 재무부 장관 Ho Duc Phoc은 당초 8월 1일 부로 시행될 예정인Circular 40의 시행을 내년 1월 1일로 연기할 것을 정부에 제안했다. 베트남 내 4차 코로나 확산으로 10만 명 이상이 감염되고 국가 경제의 큰 비중을 차지하는 호치민시에서의 코로나 확산 상황이 심각해짐에 따라 경제 회복을 지원하기 위한 해결책으로 전자상거래 업체 과세 연기를 제안했다. 베트남 전자상거래 플랫폼에서 하루 평균 350만 건의 거래가 이루어지며 거래액은 꾸준히 증가하는 추세다. 베트남 전자상거래 시장은 지난해 18% 성장한 118억 달러 규모로 동남아시아 내에서 유일하게 코로나 팬데믹 속 두 자릿수 성장을 기록했다. [출처: https://e.vnexpress.net/news/business/economy/vietnam-defers-e-commerce-tax-by-five-months-4330820.html] [뉴스출처 : 한국무역협회]
(충남도민일보) 글로벌 시장조사업체 Canalys에 따르면, 올해 2분기 글로벌 스마트폰 시장에서 샤오미(小米)가 17%의 시장점유율로 애플을 제치고 글로벌 시장 2위를 차지했다. 1~5위는 삼성, 샤오미, 애플, 오포(Oppo), 비보(Vivo) 순이며, 시장점유율은 각각 19%, 17%, 14%, 10%, 10%로 나타남. 올해 2분기 샤오미는 해외 판매량 증가에 힘입어 애플을 추월했다. 베이징붜루이헝(博瑞恒) 컨설팅회사 애널리스트는 2분기 샤오미 실적이 양호한 원인은 라틴아메리카, 아프리카, 인도 등 시장에서 현지화를 통해 소비자의 인정을 받고, 삼성과 애플 대비 가격 우위를 확보하고 있으며, 부품 공급망이 안정하여 반도체 칩이 부족한 영향을 적게 받은 것으로 분석했다. 샤오미 스마트폰 평균 가격은 삼성과 애플 대비 40%, 75% 정도 저렴하며, 1분기 재무제표를 볼 때 주력 제품은 여전히 천위안대 스마트폰으로, 출하가가 평균 1,042위안(약 18.5만원)으로 나타났다. [출처 : 중국상업정보망] [뉴스출처 : 한국무역협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