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남도민일보) ‘화살깍지벌레’는 친환경 감귤 과수원에서 가장 문제가 되는 해충이다.
농촌진흥청은 화살깍지벌레의 천적을 도입해 생태계를 해치지 않고 지속적으로 방제할 수 있는 길을 열었다고 밝혔다.
화살깍지벌레는 감귤나무의 수액을 빨아 먹어 나무 세력을 약화시킨다. 피해가 심하면 나무가 죽을 수도 있어 각별히 주의해야 한다.
그러나 화살깍지벌레 어른벌레(성충)는 두꺼운 왁스(Wax)층으로 된 깍지를 덮고 있어 약제 방제가 어렵다. 특히 친환경으로 감귤을 재배하는 농가는 유기합성농약을 사용하지 못하기 때문에 방제하기가 더욱 어려운 실정이다.
농촌진흥청은 화살깍지벌레를 효과적으로 방제하고자 2014년부터 2016년까지 국제공동연구를 통해 화살깍지벌레의 천적인 기생좀벌 2종을 국내로 도입하는 기반을 마련했고, 법적 절차(농림축산검역본부 고시 2020-32호)를 마무리했다.
기생좀벌 2종은 ‘노랑감귤깍지좀벌’, ‘두줄박이깍지좀벌’로 화살깍지벌레 발생 밀도를 효과적으로 억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들 벌은 약 1mm의 크기로 화살깍지벌레 몸 안으로 산란관을 찔러 넣어 알을 낳는다. 알에서 태어난 애벌레는 화살깍지벌레 내부에서 영양분을 먹고, 화살깍지벌레를 죽게 한 뒤, 몸 밖으로 구멍을 뚫고 나온다.
농촌진흥청이 올해 5월 화살깍지벌레가 많이 발생한 감귤 과수원 1곳(9917㎡)을 대상으로 기생좀벌 2종 약 50마리를 방사한 결과, 2종 모두 안정적으로 과수원에 정착한 것을 확인했다.
나무에 발생한 화살깍지벌레의 약 35.4%에서 기생좀벌이 화살깍지벌레 몸 안으로 들어간 뒤 밖으로 탈출한 구멍을 발견했다. 또, 탈출 구멍이 없는 화살깍지벌레 어른벌레 약 15%의 몸 안에서도 2종 모두 기생하는 것을 확인했다.
농촌진흥청은 올해 10월부터 화살깍지벌레가 발생한 친환경 감귤 농가를 대상으로 지속적으로 기생좀벌 2종을 방사할 계획이다.
아울러 기생좀벌 2종의 신속한 국내 정착을 위해 지역별 방사 거점을 두고 이웃 농가로 자연스럽게 확산할 수 있도록 유도할 계획이다.
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 감귤연구소 현재욱 소장은 “화살깍지벌레 기생벌 2종은 화살깍지벌레에게만 기생하는 유망한 천적으로 국내에 안정적으로 정착한다면 친환경 과수원에서 가장 문제가 되는 화살깍지벌레를 효과적으로 방제할 수 있을 것이다.”라고 전했다.
친환경으로 감귤을 재배하는 김성민 농가(제주시 한경면)는 “기생좀벌이 화살깍지벌레 방제에 도움이 된다면 화살깍지벌레 문제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친환경 감귤 과수원에게는 희소식이다.”라고 말했다.
한편, 1970년대 일본에서는 화살깍지벌레가 문제가 되자 중국으로부터 화살깍지벌레 기생성 천적 2종을 선발․도입했으며, 현재 기생좀벌이 생태계에 피해를 주지 않으면서 안정적으로 정착해 화살깍지벌레를 따로 방제하지 않아도 될 정도로 효과를 거두고 있다.
[뉴스출처 : 농촌진흥청]